
사람들이 물의 색에 대해 물으면 대부분 "없다", "투명하다" 또는 "단순히 하늘을 반사한다"고 대답합니다. 이는 부분적으로는 맞지만, 완전히는 아닙니다.
물은 고유한 색을 가지고 있습니다
깨끗한 물은 실제로 연한 푸른빛을 띱니다. 이는 거의 눈에 띄지 않지만, 두꺼운 물층을 통해 보면 더 뚜렷하게 보입니다. 깊은 눈 구멍을 들여다보거나 두꺼운 얼음을 통해 보면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얼어붙은 폭포 위에서 볼 수 있습니다. 매우 큰 흰색 수영장을 물로 채우고 그 너머를 바라보면, 물은 푸르게 보일 것입니다.
왜 이런 일이 발생할까요? 파란색은 물 분자가 붉은색과 노란색 빛을 흡수하고 파란 빛은 산란되어 다시 우리에게 돌아오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우리는 물을 통과해서 볼 때 푸른빛을 인식하게 됩니다.

왜 바다는 어떤 날은 파랗고, 어떤 날은 그렇지 않을까?
우리가 물을 위에서 볼 때, 즉 표면을 바라볼 때는 다른 요소들도 작용합니다. 그 중 하나는 하늘의 반사입니다. 맑은 날에는 바다가 밝은 파란색으로 보일 수 있고, 흐린 날에는 회색이나 녹색빛으로 보일 수 있습니다. 물은 거울처럼 작용하며, 색은 하늘의 색, 구름의 양, 햇빛의 각도에 크게 영향을 받습니다.
왜 물의 색이 바뀌는 걸까?
물의 색은 두 가지 효과가 결합된 결과입니다:
- 물 자체의 고유한 색 (연한 파란색)
- 혼합물, 부유 입자, 식물과 미생물
큰 물속에는 종종 현미경 크기의 조류, 즉 식물플랑크톤이 서식합니다. 이들은 엽록소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는 파란색과 빨간색 빛을 흡수하고 초록색 빛은 반사합니다. 그 결과, 물은 초록색 또는 청록색으로 보일 수 있으며, 특히 식물플랑크톤이 풍부한 곳에서 그렇습니다.
때때로 바다는 붉게 보일 수도 있습니다. 이는 이른바 적조 현상이라고 하며, 특정 조류가 급격히 번식하면서 물 표면을 붉게 물들이는 현상입니다.
그럼 얼음과 눈은 어떨까?
기포가 없는 투명한 얼음도 양이 많으면 푸르게 보입니다. 멀리서 보면 눈으로 덮인 빙하는 흰색처럼 보이지만, 가까이서 특히 그늘에서 보면 진한 푸른빛을 띱니다. 이는 빛이 얼음 내부에서 긴 경로를 지나며 산란되고 따뜻한 색을 잃기 때문입니다.
일반 얼음은 내부의 공기 때문에 흰색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빙하에서는 높은 압력으로 인해 공기 방울이 제거되어 얼음이 조밀해지고, 이때 비로소 푸른색을 띱니다.

왜 강마다 물의 색이 다른가요?
강물의 색은 그 안에 녹아 있거나 떠다니는 성분에 크게 좌우됩니다. 다음은 몇 가지 예입니다:
- 투명함 – 주로 빙하나 눈 녹은 물로부터 공급받는 산악 지대의 강에서 보입니다.
- 노란색 또는 붉은빛 – 평지나 사막 지역의 강으로, 모래, 점토, 유기물이 많습니다 (예: 쿠반 강, 중앙아시아 강).
- 검은색 – 숲이나 정글을 통과하는 강에서 나타납니다. 예: 브라질의 리우네그루 강. 식물에서 나오는 유기물이 색을 만듭니다.
- 하얀색 또는 회색 – 물이 세차게 흐르며 거품이 생기는 폭포나 급류 지역에서 발생합니다. 영어에서는 이런 강을 “white water”라고 부릅니다.
물의 색에 대한 흥미로운 사실
- 일본의 수질 측정 기준. 일본 어업에서는 ‘잉어에서 송어까지’라는 수질 평가 기준이 있습니다. 잉어는 흐린 물에서도 살 수 있지만, 송어는 맑은 물에서만 삽니다. 이 기준은 연못과 강의 투명도를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 호주의 핑크색 힐리어 호수. 호주 남서부의 힐리어 호수는 눈부신 분홍빛으로 유명합니다. 이 독특한 색은 Dunaliella salina라는 조류와 Salinibacter ruber라는 박테리아 같은 미생물의 색소 때문입니다.
- 남극의 피의 폭포. 동남극의 테일러 빙하에는 핏빛으로 물든 독특한 폭포가 있습니다. 이는 얼음 아래 호수에서 흘러나오는 염수가 철산화물 함량이 높아 붉은색을 띠는 현상입니다.
- 독일의 푸른 블라우토프 호수. 바덴뷔르템베르크 주의 블라우토프 석회암 용출수는 짙은 파란색으로 유명합니다. 이 색은 물속에 존재하는 석회암 나노입자에 의해 빛이 산란되며 발생합니다.
- 물의 부영양화와 그 영향. 물이 선명한 녹색을 띨 때, 이는 흔히 남세균이 번식한 것입니다. 일부 남세균은 동물과 사람에게 위험한 독소를 생성할 수 있습니다. 과도한 영양분이 있을 경우, 얼음 밑이나 수족관에서도 번식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간단한 요약
- 물은 실제로 푸른빛을 띠며, 깊어질수록 그 색이 강해집니다.
- 우리가 수면 위에서 보는 색은 하늘의 반사, 부유 입자, 식생, 깊이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 녹색에서 검정, 심지어 빨간색까지의 다양한 색조는 자연 혼합물, 식물플랑크톤, 빛 조건 등으로 설명됩니다.
이제 바다나 강을 볼 때, 왜 그 물이 그런 색으로 보이는지 추측해 보세요. 물의 색은 단순한 반사가 아니라, 빛, 깊이, 그 속의 생명에 얽힌 복잡한 이야기입니다.